경제성장률, 국민소득, GDP, 이런 용어들은 뉴스에서 익히 볼 수 있고, 이것으로 우리의 경제 상황을 진단하는 경우를 많이 봅니다. 국내총생산(GDP) 개념은 중학교와 고등학교에서 배우는 내용이기 때문에 모르시는 분들은 아마도 없을 겁니다. 그러나 뉴스로 GDP가 어떻게 되었다고만 들어보았지, 정말로 한국은행에 들어가서 국내총생산과 관련된 정보를 찾아본 분들은 그렇게 많지 않을 겁니다.
최근에 10월 24일, 한국은행이 2024년 3/4분기 실질 국내총생산을 발표를 했는데요. 관련된 뉴스도 많이 나왔지요. 그래서 저도 이런 뉴스들을 보게 되었습니다. 이번 24년 3/4분기 실질국내총생산은 이전 분기 대비해서 0.1% 성장을 했고, 전년 대비 1.5% 성장했다고 합니다.
이렇게 된 김에 국내총생산 같은 거시경제 자료를 어떻게 투자에 활용할 수 있을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러려면 기본적으로 간단하게 GDP 개념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한국은행에서 낸 보도자료를 보면서 이 자료를 읽는 데 필요한 자료를 한번 찾아보도록 합시다.
한국은행에서는 보도자료를 통해 매년 매분기마다 국내총생산과 관련된 지표를 공개하고 있습니다.
자료에 따르면 분기 실질 국민소득 통계 속보치는 해당분기 종료 후 28일 이내에 "20XX년 X분기 실질 국내총생산(속보)"이라는 제목으로 공개되며, 분기 실질 및 명목 국민소득 통계 잠정치는 해당분기 종료후 70일 이내에 "20XX년 X분기 국민소득(잠정)"이라고 보도자료르 내고 공표한다고 합니다.
또한 연간 국민계정 통계는 잠정은 해당년도 종료 후 3개월 내에 '국민소득' 통계를, 6개월 내에 '국민계정' 통계를, 확정 자료는 익익년 6월에 확정 국민계장 보도자료를 낸다고 합니다. 이를 정리하면 아래 표에 따라 통계가 나오게 됩니다.
분기 | 분기 종료일 | 실질 국내총생산(속보) 발표시기 |
실질 및 명목 국민소득(잠정) 발표시기 |
1/4분기 | 3월 31일 | 4월 28일 이내 | 6월 10일 이내 |
2/4분기 | 6월 30일 | 7월 28일 이내 | 9월 9일 이내 |
3/4분기 | 9월 30일 | 10월 28일 이내 | 12월 10일 이내 |
4/4분기 | 12월 31일 | (다음 해) 1월 28일 이내 | (다음해) 3월 12일 이내 |
통계명(연간) | 통계 발표 기한 | 통계 발표 시기 |
2024년 국민소득(잠정) | 3개월 내 | 2024년은 2025년 3월 31일 이내 |
2024년 국민계정(잠정) | 6개월 내 | 2024년은 2025년 6월 30일 이내 |
2024년 국민계정(확정) | 익익년 6월 | 2024년은 2026년 6월에 |
이걸 토대로 앞으로의 통계 발표 시기를 예측해보면 이렇게 됩니다.
시기 | 통계명 |
2024년 12월 10일 경 | 2024년 3/4분기 실질 및 명목 국민소득(잠정) |
2025년 1월 28일 경 | 2024년 4/4분기 실질 국내총생산(속보) |
2025년 3월 12일 경 | 2024년 4/4분기 실질 및 명목 국민소득(잠정) |
2025년 3월 31일 경 | 2024년 국민소득(잠정) |
2025년 4월 28일 경 | 2025년 1/4분기 실질 국내총생산(속보) |
2025년 6월 10일 경 | 2025년 1/4분기 실질 및 명목 국민소득(잠정) |
2025년 6월 경 | 2023년 국민계정(확정) |
2025년 6월 30일 경 | 2024년 국민계정(잠정) |
2025년 7월 28일 경 | 2025년 2/4분기 실질 국내총생산(속보) |
2025년 9월 9일 경 | 2025년 2/4분기 실질 및 명목 국민소득(잠정) |
2025년 10월 28일경 | 2025년 3/4분기 실질 국내총생산(속보) |
2025년 12월 10일경 | 2025년 3/4분기 실질 및 명목 국민소득(잠정) |
2026년 1월 28일 경 | 2025년 4/4분기 실질 국내총생산(속보) |
2026년 3월 12일 경 | 2025년 4/4분기 실질 및 명목 국민소득(잠정) |
2026년 3월 31일 경 | 2025년 국민소득(잠정) |
2026년 4월 28일 경 | 2026년 1/4분기 실질 국내총생산(속보) |
2026년 6월 10일 경 | 2026년 1/4분기 실질 및 명목 국민소득(잠정) |
2025년 6월 경 | 2024년 국민계정(확정) |
2025년 6월 30일 경 | 2025년 국민계정(잠정) |
이렇게 발표되는 통계는 국민소득통계라고 불리며, 이 국민소득 통계는 한 나라의 경제상황을 종합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자료로, 경제정책 수립 및 평가, 각종 경제분석의 주요 자료로 활용이 됩니다.
국민소득 주요 총량지표로는 명목 국내총생산(명목 GDP), 실질 국내총생산(실질 GDP), 실질 국내총소득(실질 GDI), 실질 국민총소득(실질 GNI), 명목 국민총소득(명목 GNI), 국민총처분가능소득, 가계총처분가능소득이 있는데, 그 개념은 따로 알아볼 필요가 없습니다. 왜냐하면 자료에 간단한 지표 설명이 다 있기 때문입니다.
( 생산지표 )
①명목 국내총생산(nominal Gross Domestic Product, GDP valued at current prices) : 경제규모 등의 파악에 이용되는 지표로서 국내*에서 생산된 최종생산물의 수량에 그 때의 가격을 곱하여 산출하므로 명목 GDP의 변동분은 최종생산물의 수량과 가격변동분이 혼재되어 있음
*국내라 함은 한 나라의 경제적 영역(economic territory) 내를 의미하며, 이는 지리적 영역(geographical territory)에 기초하지만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님
②실질 국내총생산(real Gross Domestic Product, GDP valued at chained xxxx year prices) : 국내경제의 생산활동 동향을 나타내는 경제성장률 산정에 이용되는 지표로서 지수기준년부터 당해년까지 매년의 개별 재화와 서비스의 가중치 및 물량 변화를 반영해 측정한 연쇄 물량지수에 지수기준년(xxxx년, 현재 2020년)의 GDP 금액을 곱하여 산출한 물량측정치임. 이에 따라 실질 GDP의 변동분은 가격 변화분을 제거한 순수한 생산수량의 변동분만을 나타냄
( 소득지표 )
①실질 국내총소득(real Gross Domestic Income) : 국내에서 생산된 최종생산물의 실질구매력을 나타내주는 지표로서 명목 GDP로부터 개별상품의 절대가격 변화에 따른 변동분을 제거한 것이 실질 GDP(물량측정치)가 되며, 실질 GDP에서 교환되는 상품간의 상대가격 변화에 따른 구매력의 변동분(실질거래손익)을 조정하여 실질 GDI(구매력 측정치)를 구함
ㅇ상대가격 변화에 따른 실질거래손익은 거주자간의 거래에 있어서는 거래손실과 거래이익이 서로 상쇄되므로 거주자와 비거주자간의 거래, 즉 무역에서만 발생함. 따라서 이를 교역조건 변화에 따른 실질무역손익이라 함
※ 실질 GDI = 실질 GDP + 교역조건 변화에 따른 실질무역손익
②실질 국민총소득(real Gross National Income) : 우리나라 국민이 국내는 물론 국외에서 벌어들인 소득의 실질구매력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실질 GDI에 외국인이 국내에서 벌어간 실질소득은 차감하고 우리 국민이 국외에서 벌어들인 실질소득은 더하여 산출
③명목 국민총소득(nominal Gross National Income) : 1인당 국민소득, 국가경제규모 등을 파악하는 데 이용되는 지표로 우리나라 국민이 국내는 물론 해외에서 생산활동에 참여한 대가로 벌어들인 명목 총소득을 의미하며, 명목 GDP에 명목 국외순수취요소소득을 더하여 산출(종전의 명목 GNP)
ㅇ1인당 국민소득(GNI)은 국민들의 생활수준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연간의 명목 국민총소득을 추계인구(매년 7월 1일 기준)로 나누어 구하며, 국제비교를 위해 미 달러화(연평균환율 적용)로도 표시
④국민총처분가능소득(Gross National Disposable Income) : 소비율, 투자율, 저축률 등의 산정에 이용되는 지표로서 소비나 저축으로 자유로이 처분할 수 있는 총소득으로 GNI에 국외순수취경상이전을 더하여 산출하며 일반적으로 명목지표만 편제
⑤가계총처분가능소득(Personal Gross Disposable Income) : 가계 및 가계에 봉사하는 민간비영리단체가 임의로 처분할 수 있는 소득으로 제한적이나마 가계의 구매력을 나타내는 지표
쉽게 말하면
(명목)국내총생산은 한 해에 국내에서 생산된 모든 최종 상품의 시장가치의 합입니다. 그런데 여기서 시장가치는 돈으로 나타내죠. 그렇다면 물건 생산량은 그대로라고 하더라도 제품 가격만 올라가면 국내총생산은 높아지게 됩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물가 수준을 반영해서 실제로 정말 생산된 상품의 양만을 따지는 것이 실질 국내총생산입니다. 여기까지는 의무교육 수준에서 다 배우는 내용입니다.
국민총생산이라는 개념도 있는데, 그것은 한 해에 그 국민이 생산한 모든 최종 상품의 시장가치의 합입니다. 생산의 기준이 국민이냐 국내냐가 차이이죠.
국내총소득은 우리나라 안에서 발생한 모든 소득의 합입니다. 결국 우리나라에 있는 사람들이 번 돈을 싹 다 합친 것입니다. 여기서 물가수준을 반영한 것이 실질 국내총소득입니다. 이론적으로는 실제로 명목 국내총소득에서 물가수준을 반영하지 않고, 실질GDP에서 교역조건 변화에 따른 실질무역손익을 반영한 값으로 계산한다고는 하는데, 그것까지 저희가 알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
이렇게 해서 간단히 국민소득 관련해서 한국은행이 발표하는 지표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어떻게 이 지표를 투자에 활용할 지 한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차주식의 경제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환율이 올라가면 해외주식 사야할까? (0) | 2024.07.26 |
---|---|
환율이 올라가면 어떤 기업이 유리할까? (0) | 2024.07.26 |
환율은? 환율 쉽게 이해하기. (0) | 2024.07.25 |
경제상황을 간단히 분석하기 위해 ~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이해 ~ (0) | 2024.07.23 |